반응형

강박장애(obsessive compulsive disorder)를 겪는 환자들은 의식이나, 반복적인 행동을 지속하고 일정한 행동을 수행하지 않으면 심리적으로 불안함과, 두려움을 느낍니다.

 

미신이나 징크스 완벽주의 성향도 강박장애일까?

 사람들은 저마다 자신만의 의식이나, 징크스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시험 전날에는 미역국을 먹지 않는다 등과
같이 자신이 일정하게 정해놓은 의식이나 행동을 통하여 일종의 불안감을 해소합니다. 때로는 과학적으로 근거가 없는
행동이며 스스로 부적절하다고 느끼지만 그 행동을 함으로써 불안감으로부터 해방됩니다. 이러한 사소한 강박성향은 누구나 조금씩 가지고 있으며 일상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강박장애로 병리적으로 해석하진 않습니다. 완벽주의 성향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완벽주의성향을 가지고 있다 하여 무조건 강박장애를 앓는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적당한 완벽주의 성향은 자아실현에 좋은 영향을 주고 커리어에서도 좋은 성과를 기여합니다. 어떠한 행동을 수행하는데 자신이 컨트롤
할 수 있는 수준에서 합리적이게 행동하며 그 결과가 심리적으로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불안, 고통을 유발하지 않는다면  적당한 강박행동 역시 병적으로 생각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강박장애란 무엇입니까?

 강박장애는 일종의 불안장애의 한 형태입니다. 원하지 않는 생각과 행동을 반복하며 자신의 불안감이 해소될 때까지 반복행동을 함으로써 불안감을 해소시킵니다. 자신의 행동이 이상하다는 것을 인지하지만 멈출 수 없습니다. 우리는 때때로 불안한 생각을 가지고 있지만 강박장애를 겪고 있는 환자의 경우 그 행동이 일상생활에 문제가 될 정도로 심한 불안장애로 나타날 경우 강박장애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강박장애는 집착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강박장애 행동 유형에는 청결행동, 확인행동, 지연행동, 반복행동 등이 있습니다.
확인행동으로는 집에서 나가기 전 문이 잠겼는지 점검하고, 가스레인지, 전원 플러그가 꺼져있는지 반복적으로 확인하고 계속해서 했던 일을 여러 번 점검합니다. 현관문을 통과했다가 다시 돌아오고 해당버튼을 끄는 제스처를 여러 번 하기 반복해야만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정돈행동으로는 항상 물건이 제자리에 정돈되어 있고 물건마다 질서가 있어야 합니다. 책상 위에 책의 크기, 종류 등 자신 만의 기준으로 정리가 되어야 합니다. 책의 순서가 바뀌거나, 물건의 위치가 1cm라도 변경되어 있으면 참을 수 없는 분노를 유발합니다.  청결행동으로는 어떠한 물건을 만졌을 때 수 십 번씩 손을 씻는다거나 어떠한 물건을 만졌을 때 세균에 감염될 것 같이 불안하여 공공장소에서나 특정한 물건을 만지지 못합니다. 어떠한 길은 절대 가지 않거나, 특정한 선을 밟지 않기, 짝수에 맞추어 음식 먹기 등 여러 가지 유형으로 자신만의 규칙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정한 행동에 의미를 두며 그 행동을 하지 않으면 자신에게 불행이 닥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자신이 정한 의식을 불안감이 사라질 때까지 몇 번이고 되풀이합니다. 스스로 비합리적인 생각이라는 것을 알지만 그 행동을 반복하지 않으면 불안감이 해소되지 않기 때문에 반복해서 몇 번이고 강박적인 행동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외부에서 제지하거나 의식을 방해당하면 불안의 수치가 극도로 치닫습니다. 해당 행동을 하는데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만큼 많은 시간을 소모하게 되어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들은 자신의 삶을 피폐하게 만들어 지치게 되고 종종 우울증이 발생합니다. 강박장애를 치료하지 않으면 대부분의 경우 우울증으로 진화합니다. 질병에 대한 죄책감과 일상, 사회생활의 부적응으로 인하여 사회에서 소외를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강박장애를 겪는 일부사람들은 불안을 진정 시 키키 위해 술을 많이 마셔서 만성알코올중독 확률도 높습니다. 주기적이나 일정한 OCD를 치료하지 않고 평생 사는 것도 가능하지만 집착과 강박증세가 점점 심해지면 심각한 정신 문제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큰 문제를 일으키기 전에 치료를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강박장애가 나타나는 원인은 무엇입니까?

사람은 자라면서 환경을 통해 학습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영향을 받아 강박장애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더러운 물건을 만졌을 때 오염이나 감염에 관련한 경험이나 이론을 학습하고 반복적으로 씻어야만 불안감을 떨칠 수 있는 상황 등이 있습니다. 유아기 때부터 과도한 책임감을 주입받게 되면서 강박성향이 나타나는 것도 위와 같은 경험, 학습의 특성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유전적으로 불확실성을 견딜 수 없어하고 책임감이 심한 성격일 경우 강박장애가 나타날 확률이 높습니다. 뇌 기능 연구에 따르면 OCD 환자의 뇌의 특정영역에 구조적 결함이 있다고 합니다. 융통성 없이 반복행동을 하고 이를 잘 통제하지 못하는 것은 전두엽의 기능이 손상되었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뇌에 세로토닌을 충분히 공급되지 못해서 발생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정신분석 이론에서는 강박장애를 무의식적 공격의 대한 자아의 정신 방어 메커니즘으로 간주합니다. 방어기제를 발동하여 이미 벌어진 일을 어떠한 행위를 통하여 무효화하고 방어기제를 사용함으로써 불안과 긴장을 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강박행동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오늘날 강박 장애는 전체인구의 2~3%가 영향을 받습니다. 강박장애는 공포증, 중독, 우울증 다음으로 네 번째로 흔한 정신장애입니다. 최근에는 강박장애 치료에 대한 연구가 많이 발전하였으며 강박장애 대한 인식과 이해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충분히 치료가 가능한 질병이니 적절한 치료를 통하여 도움 받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