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란 심각한 고통이나 충격적인 사건 이후 발생하는  불안장애입니다. 이 장애는 장기간 지속되어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고 치료하지 않으면 정신적인 문제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란 무엇입니까?

마음의 상처, PTSD라고 불리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심각하고 충격적이고 갑작스러운 외상성 사건을 경험 한 뒤 주로 발생합니다. 외상 사건으로 인하여 공포감을 느끼고 사건이 지난 후에도 계속해서 비슷한 경험이나, 상황에서 고통을 느끼는 장애입니다. 공포를 유발하는 환경(예를 들어 전쟁, 고문, 사고, 자연재해, 타인이나 자신을 향한 폭력이나 범죄 등)에서 고통과 충격을 느끼는 것은 정상입니다. 그러나 이전 외상성 사건과 비슷한 유형의 상황에 놓였을 때 재경험을 통해 극심한 충격을 지속적으로 느끼며 그 공포감에서 벗어나기 위해 일상생활 속에서 계속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는 질환을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이로서 정상적인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사회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칩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어떻게 나타납니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사건 후 짧게는 일주일부터,  한 달 후, 심지어는 30년이 지난 후에 갑자기 시작될 수 있습니다. 외상 후 스트레스가 있는 사람은 반복되는 생각을 통한 기억, 꿈, 또는 갑작스러운 사건을 통해 해당 기억을 지속적으로 되살립니다. 수면장애, 과민성고통, 호흡곤란, 불안발작, 공황장애 등의 증상이 추가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때때로 외상 당시 느꼈던 신체감각이 예기치 않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외상과 연관되어 기억을 상기시킬 수 있는 모든 사건으로부터 도망치려는 경향이 있어 일상이 무감각해집니다. 이러한 회피 태도는 사건에 대한 부분적, 또는 전체적인 기억상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자율신경계가 예민해져 쉽게 놀라고, 쉽게 짜증을 내게 됩니다. 집중력 저하와, 수면 장애가 동반됩니다. PTSD의 심각하고 일반화된 장애 특성은 공황발작, 해리현상 등이 있습니다. 환청 등 지각 이상을 경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수개월 ~ 수년에 걸쳐 지속되는 경우 일상생활에 엄청난 악영향을 끼칩니다. 섭식장애, 약물중독, 알코올중독, 공격적 성향, 충동조절 장애 등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는 환자 중 20~30% 우울증이 나타납니다. 나이가 어린아이들은 자신이 겪고 있는 일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들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더욱 취약합니다. 바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수개월 뒤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이 나타 날 수 있으므로 아이가 어떠한 심각한 사건을 겪었다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하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발병하였는지 살펴보아야 합니다. 증상의 정도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고 스트레스 시기에 강하게 나타납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원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일차적 원인은 외상입니다. 남성의 경우 전쟁경험에서 오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많고
여성의 경우 타인에 의한 물리적 폭행, 강간 등이 많습니다. 실제로 베트남 참전 용사의 약 30%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경험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같은 외상을 경험한다고 해서 모든 사람에게 같은 정도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개개인의 생물학적, 정신 사회적 요소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생물학적 요인으로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시상하부, 뇌하수체, 부신 축의 기능 등이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습니다. 어릴 적 경험한 심리적 상처, 가족의 정서적 결핍, 정신질환에 취약한 유전적 특성, 스트레스를 받는 환경, 예민하고 불안이 심한 성격 등과 같은 환경 사회적 요소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치료법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환자를 지지하고 격려하여
환자가 외상에 관해 이야기하고 벗어나고 극복하려는 의지가 중요합니다. 외상성 사건 후에는 혼자서 극복하기보다는 전문가(심리치료사, 정신과 의사 등)를 통하여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이 상황을 잘 이겨낼 수 있도록 심리치료와 대처방법을 교육하고, 이완요법, 행동치료, 인지치료, 최면 치료 등을 통하여 불안, 악몽과 같은 증상을 완화시켜 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필요에 따라 약물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약물 치료는 선택적 세로토닌제 흡수 억제제를 주로 사용합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증상뿐만 아니라 다른 불안이나, 우울증상 치료에도 효과적입니다.  이 외에도 항우울제나, 수면제, 항불안제 등을 처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전체 환자의 30% 정도는 치료받지 않아도 스스로 증상이 호전됩니다. 나머지 환자는 증상이 더 심해지거나,  스트레스, 환경에 따라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기도 합니다.
다른 정신과적 질환이 없고, 주변에서의 지지, 정서적으로 안정된 환경, 발병하고 나서 얼마 안 된 시간에 치료를 받는다면 예후가 좋습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숨기려고 할수록 호전보다 악화가 됩니다. 심리적, 정신적 치료를 통하여 깨끗하게 치료하고 행복한 인생을 위해 자신을 돌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